강화도를 꽤 자주 갔었지만
강화도에 고려궁지가 있다는 것도 이번에 처음 알았습니다.
아래 강화 고려궁지 자료는
한국민족문화 대백과 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사적 제133호. 지정 면적 7,534㎡. 이곳은
고려가 몽고군의 침략에 대항하기 위해
도읍을 송도에서 강화도로 옮긴 1232년(고종 19)부터
다시 환도의 1970년 원종 11)까지 38년간 사용되던 고려 궁궐터이다.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최우(崔瑀)는
이령군(二領軍)을 동원하여 이곳에 궁궐을 지었다..
규모는 작았으나 송도 궁궐과 비슷하게 만들고
궁궐의 뒷산 이름도 송악산이라고 하였다 한다.
강화도에는 정궁(正宮) 이외에도 행궁(行宮)
이궁(離宮)·가 걸(假闕) 등 많은 궁궐이 있었는데,
이곳 강화읍 관청리 부근은
정궁이 있었던 터로 추정된다.
정문의 이름은 승평문(昇平門)이었고,
양측에 삼층 루이 문이 두 개가 있었으며
동쪽에 광화문(廣化門)이 있었다.
이 궁은 1270년 송도로 환도할 때에 모두 허물어졌다.
조선시대에도 국난시 강화도를 피난지로 정하여
1631년(인조 9) 고려 옛 궁터에 행궁을 건립하였다.
전각과 강화유수부·규장 외각 등을 세웠으나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 의하여 거의 소실되고, 현재
관아건물인 명이 위헌(明威軒)·이 방청(吏房廳) 등이 남아 있다.
이곳은 외침에 줄기차게 저항했던
민족의 저력이 흐르는 국난 극복의 역사적 현장이다.
'자연과 풍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화도 진무영 순교 성지 (0) | 2017.04.17 |
---|---|
강화도 용흥궁 (0) | 2017.04.15 |
강화도 성공회 강화 성당 (0) | 2017.04.14 |
봄비 내리는 서울 숲 (0) | 2017.04.13 |
응봉산 개나리 축제 비 내리던 첫날 (0) | 2017.04.08 |